3호 태풍 개미와 4호 태풍 프라피룬이 잇따라 발생하고 소멸한 가운데,
이제 새로운 열대요란인 95W가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.
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(JTWC)는 이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중간(Medium) 단계로 상향 조정하며,
5호 태풍 마리아로 발전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.
최근 태풍 발생 및 소멸 현황
- 3호 태풍 개미: 발생 후 소멸 임박
- 4호 태풍 프라피룬: 소멸
5호 태풍 마리아
- 제출국: 미국
- 의미: 여성 이름, 기독교 성경에서도 익숙한 이름
⏩2024년 태풍 종류 바로가기
5호 태풍 마리아 예상 경로
- 모델: GEFS(글로벌 기상 예측 시스템)
- 경로 예측:
- 3호 태풍 개미와 유사한 경로: 필리핀 동쪽 해상 → 북서진 → 대만
- 대만 이후 경로 변화: 동쪽으로 방향 전환 → 일본 오키나와 열도 본섬 스침 → 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으로 이동
95W 열대요란 감시 상황
- 감시 기관: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(JTWC, Joint Typhoon Warning Center)
- 감시 시작일: 2024년 7월 25일
- 위치: 필리핀 동쪽 해상
- 발달 가능성 변화:
- 7월 25일: 낮음(Low)
- 7월 26일: 중간(Medium)으로 상향
⏩2024년 태풍 종류 바로가기
95W 열대요란의 발전 단계
- 열대요란 → 열대저기압 → 태풍
한반도 영향 가능성
-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:
- 여름철: 한반도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태풍을 ‘튕겨내는’ 역할
- 가을철: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쪽으로 물러나면서 태풍이 한반도로 접근 가능성 증가
- 최근 3호 태풍 개미 사례: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해 중국으로 이동
- 5호 태풍 마리아의 한반도 북상 가능성: 낮음
⏩2024년 태풍 종류 바로가기
95W 열대요란이 5호 태풍 마리아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며,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해 대만을 지나 일본 남쪽 해상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.
현재의 북태평양 고기압 상태로 볼 때, 한반도로의 북상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