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년 5호 태풍 마리아 실시간 이동 경로

5
(1314)

3호 태풍 개미와 4호 태풍 프라피룬이 잇따라 발생하고 소멸한 가운데,

이제 새로운 열대요란인 95W가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관찰되고 있습니다.

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(JTWC)는 이 열대요란의 발달 가능성을 중간(Medium) 단계로 상향 조정하며,

5호 태풍 마리아로 발전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습니다.

24년 5호 태풍 마리아 이동 경로 실시간 위치

최근 태풍 발생 및 소멸 현황

  • 3호 태풍 개미: 발생 후 소멸 임박
  • 4호 태풍 프라피룬: 소멸

5호 태풍 마리아

  • 제출국: 미국
  • 의미: 여성 이름, 기독교 성경에서도 익숙한 이름

5호 태풍 마리아 예상 경로

  • 모델: GEFS(글로벌 기상 예측 시스템)
  • 경로 예측:
    • 3호 태풍 개미와 유사한 경로: 필리핀 동쪽 해상 → 북서진 → 대만
    • 대만 이후 경로 변화: 동쪽으로 방향 전환 → 일본 오키나와 열도 본섬 스침 → 일본 남쪽 태평양 해상으로 이동

95W 열대요란 감시 상황

  • 감시 기관: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(JTWC, Joint Typhoon Warning Center)
  • 감시 시작일: 2024년 7월 25일
  • 위치: 필리핀 동쪽 해상
  • 발달 가능성 변화:
    • 7월 25일: 낮음(Low)
    • 7월 26일: 중간(Medium)으로 상향

95W 열대요란의 발전 단계

  • 열대요란열대저기압태풍

한반도 영향 가능성

  • 북태평양 고기압 영향:
    • 여름철: 한반도에 위치한 북태평양 고기압이 태풍을 ‘튕겨내는’ 역할
    • 가을철: 북태평양 고기압이 동쪽으로 물러나면서 태풍이 한반도로 접근 가능성 증가
    • 최근 3호 태풍 개미 사례: 북태평양 고기압에 의해 중국으로 이동
  • 5호 태풍 마리아의 한반도 북상 가능성: 낮음

95W 열대요란이 5호 태풍 마리아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으며,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발생해 대만을 지나 일본 남쪽 해상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됩니다.

현재의 북태평양 고기압 상태로 볼 때, 한반도로의 북상 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.

해당 게시물이 얼마나 유용하셨나요?

평점을 매겨주세요!

평균 평점 5 / 5. 투표 수 1314

지금까지 투표가 없습니다.

Leave a Comment

민생회복지원금 신청

X
error: 우클릭 할 수 없습니다.